본문 바로가기

SQL

(7)
[MariaDB] 유저 생성, 삭제, 리스트 조회 및 접근 허용 명령어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
[codeQL] codeQL과 sql의 차이점 codeQL이 뭐야? sql과의 차이점 위주로 설명해줘. 길이는 500자 내외 ChatGPT CodeQL은 소프트웨어 코드 분석 및 쿼리 언어로, 코드 보안 취약점과 버그를 탐지하는 데 사용. SQL과 비슷하게 쿼리 언어를 사용하지만, SQL은 데이터베이스에서 구조화된 데이터를 쿼리하는 데 중점을 둔 반면, CodeQL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분석. CodeQL은 정적 코드 분석을 수행하여 소프트웨어의 보안 취약점 및 버그를 발견하며, 복잡한 쿼리를 사용하여 코드의 동작을 이해하고 조사 또한, 코드의 구조, 흐름, 의존성 등을 파악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 결과를 제공. SQL : 데이터를 조작하고 검색하는 데 초점 CodeQL : 코드의 보안 및 품질 측면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데 주로 사용
[Oracle] 데이터 변환 Implicit Data Conversion Oracle Database automatically converts a value from one data type to another when such a conversion makes sense. Table 2-8 is a matrix of Oracle implicit conversions. The table shows all possible conversions, without regard to the direction of the conversion or the context in which it is made. An 'X' in a cell indicates implicit conversion of the data types named in the ..
[Oracle] Oracle Built-in Data Types에 대한 재미있는 사실 오라클 데이터 타입 재미있는 사실. 출처 : https://docs.oracle.com/en/database/oracle/oracle-database/19/sqlrf/Data-Types.html#GUID-7B72E154-677A-4342-A1EA-C74C1EA928E6 SQL Language Reference docs.oracle.com 1. 데이터 타입 DATE는 10000년 데이터는 기록 못한다. Data Type : DATE Description : Valid date range from January 1, 4712 BC, to December 31, 9999 AD. 유효한 날짜 범위는 기원전 4712년 1월 1일부터 AD 9999년 12월 31일까지이다. 10000년 데이터는 기록 못한다. 만약 ..
[SQL] 기본부터 심화까지 간단 정리 SQL을 뿌셔봅시다 :) SQL 명령문 개괄 1. From -where -group by - having - select - order by 2. DML - select, insert, delete, update DDL - alter, create, modify, drop TCL - rollback, commit DCL - grant, revoke Select distinct(집약) > (10,10,20,20,30,...) > 10,20,30 distinct(deptno, mgr) = group by (deptno, mgr) AS select 1. as 생략가능 2. 컬럼명에 띄어쓰기 사용가능 예(직원 번호) from as 상용불가 concat + - sql server || - oracle concat..
sql문 활용. where 1<>1, where 1=1, ||, trim 1. where 11 / where 1=1 디버깅용으로 사용하는 코드 2. || PAYM_MTH || '|' || MONPAY_CALC_YN AS PAYM_MTH || concatenation 두개의 컬럼을 하나로 합칠 때 사용 ' ' 를 활용해 두 컬럼 사이에 특정 값을 넣을 수 있음 3. TRIM([[위치] [제거 문자열] FROM] 문자열) [위치]의 입력되는 값은 LEADING(시작 부분), TRAILING(끝) 또는 BOTH(시작 부분과 끝 부분) 이다. 이 함수는 [제거 문자열]을 문자열의 시작 부분, 끝 부분 또는 시작 부분과 끝에서 제거한다. [제거 문자열]이 표시되지 않으면 공백이 제거된다. // 출처: https://araikuma.tistory.com/523 [프로그램 개발 지식 공유]
2021. 8. 16 개발자 공부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.